Android Kotlin DB - DAO를 사용하여 데이터 접근 (3)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Android

Android Kotlin DB - DAO를 사용하여 데이터 접근 (3)

0. 이전 글 Android Kotlin DB - Table 정의 (2) 0. 이전글 Android Kotlin DB - Room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사용 (1) 1. Room Room은 SQLite에 대하여 추상화 레이어를 제공하여 원활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를 지원하는 동시에 SQLite를 완벽하게 활용할 notepad96.tistory.com 1. DAO DAO란 Data Access Object 로서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객체를 의미한다. Room에는 @Dao라는 어노테이션이 존재하여 간단하게 DAO를 정의할 수 있다. 그리고 @Insert, @Delete, @Update, @Query 와 같은 어노테이션도 존재하여 SQL 문법의 관한 지식이 있다면 간단하게 DAO 기능들을 구현 가..

2020.12.07 게시됨

Android Kotlin DB - Table 정의 (2)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Android

Android Kotlin DB - Table 정의 (2)

0. 이전글 Android Kotlin DB - Room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사용 (1) 1. Room Room은 SQLite에 대하여 추상화 레이어를 제공하여 원활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를 지원하는 동시에 SQLite를 완벽하게 활용할 수 있게한다. 따라서 공식 문서에서도 SQLite 대신 Room을 사용할 것 notepad96.tistory.com 1. 테이블 정의 Kotlin 에서는 data class가 존재하며, 이를 사용함으로써 getter/setter를 따로 구현할 필요가 없다. 이를 @Entity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데이터(테이블)를 정의할 수 있다. 해당 예시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 테이블을 만든다. Books id: Long (PK) book_name: String writer..

2020.12.06 게시됨

Android Kotlin DB - Room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사용 (1)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Android

Android Kotlin DB - Room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 사용 (1)

1. Room Room은 SQLite에 대하여 추상화 레이어를 제공하여 원활한 데이터베이스 액세스를 지원하는 동시에 SQLite를 완벽하게 활용할 수 있게한다. 따라서 공식 문서에서도 SQLite 대신 Room을 사용할 것을 적극적으로 권장한다. Room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Android 프로젝트를 생성 후 build.gradle 파일에 다음을 추가해주어야 한다. dependencies { def room_version = "2.2.5" implementation "androidx.room:room-runtime:$room_version" kapt "androidx.room:room-compiler:$room_version" // optional - Kotlin Extensions and Corou..

2020.12.06 게시됨

Android Kotlin 뒤로가기 버튼 생성 - parentActivityName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Android

Android Kotlin 뒤로가기 버튼 생성 - parentActivityName

1. 매니페스트(Manifest) 파일 및 결과 - 매니페스트 파일 내의 application 태그 속 activity 태그가 개수만큼 선언되어 있다. - 뒤로가기 버튼을 만들기 위해서는 해당 activity에서 android:parentActivityName 속성을 사용하여 뒤로 이동할 액티비티명을 지정해주면 된다. 해당 예시에서는 MainActivity2 액티비티에서 뒤로가기 버튼을 만들며 이를 눌렀을 시 MainActivity로 이동한다. - 앱 바 좌측에 뒤로가기 버튼이 생성 된다. 2. 참 조 다른 활동 시작 | Android 개발자 | Android Developers 이전 과정을 완료했다면 텍스트 필드와 Send 버튼이 있는 단일 화면으로 구성된 활동을 보여주는 앱이 있을 것입니다. 이 과정..

2020.12.04 게시됨

안드로이드(Android) 네 가지 구성요소(Components) 포스팅 썸네일 이미지

Android

안드로이드(Android) 네 가지 구성요소(Components)

1. 구성요소(Components) Android 앱의 필수적인 기본 구성 요소로는 4가지가 있다. 각 구성 요소는 시스템이나 사용자가 App에 들어올 수 있는 진입점이 된다. 1. 액티비티(Activity) - 사용자와 상호작용하기 위한 진입점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한 화면 하나를 나타낸다. - 액티비티 간 독립되어 있으며 다른 액티비티에서 허용을 하면 접근, 공유를 할 수 있다. - ex) 이메일 앱 : 이메일 작성 액티비티, 이메일 읽는 액티비티, 이메일 목록 표시 액티비티 등 2. 서비스(Service) - 백그라운드에서 앱을 계속 실행하기 위한 다목적 진입점 -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오랫동안 실행되는 작업을 수행하거나 원격 프로세스를 위한 작업을 수행 - 따라서 서비스는 인터페이스를 제..

2020.12.02 게시됨